오늘의 주식 : 9/12(금)_자회사전환_케데헌_반도체
이제 매일 하루 주식시장을 마감하면 그날의 상한가 종목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그냥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ㅎ)
주식 공부를 위해서 매일 상한가종목을 체크하는 것은 많은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방식중 하나입니다. 📖✒️
매일 장마감 후 상한가 종목을 찾아보고 공부한 내용을 개인적으로 남기고 함께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많이 부족하기에 여러분들도 다른 의견 주시면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
2025.09.12(금) 오늘의 주식
1. 코오롱모빌리티그룹(우)
📝 외제자동차 (BMW, AUDI, MINI 등) 판매 기업 (중간지주사격) 코스피 기업
📈 상한가 이유
동사는 코오롱그룹의 자회사로 여러 해외자동차를 판매하고 있는 기업이고 코오롱모터스 등 해당 자동차 브랜드별 자회사를 둔 중간지주사격 기업입니다. 최근 동사를 모기업인 그룹지주사 (주)코오롱이 100% 완전 자회사로 전환하여 상장폐지하겠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공개매수를 하겠다고 공시가 나왔었는데 당시 나온 공개매수가가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상장일 주가에 비해서 낮아서 주주들의 불만이 있다는 기사도 나왔었습니다.
어쨌든 합병 주체인 코오롱은 기간을 정하여 공개매수를 진행했고, 최근 공개매수기간이 종료됐습니다. 공개매수가 종료되고 바로 상한가 급등을 하게 되었습니다. (우선주 포함)
📊 기본적 분석
총판형식의 사업구조를 가진 회사의 특징인지 매출액은 큽니다. 연간 매출 2조를 넘지만 영업이익율은 낮습니다.
작년에는 적자로 전환되기도 했습니다. (올해 1,2분기는 흑자입니다.)
시총도 4천억 수준입니다. (최근 급등으로 인해 시총이 증가한 점 고려해야합니다.)
🖋 Note (단순히 초보인 저의 생각을 끄적인겁니다 😅)
현재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주식이 오르는 건 부족한 수급에 의한 수급의 왜곡 및 단기 투기수요로 인한 급등으로 밖에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이미 코오롱 주식과 변경할 주식교환 비율은 정해졌습니다. (1월에 상장폐지 예정이구요) 주식교환 비율이 정해졌으면 모빌리티그룹 주가가 아무리 올라도 나중에 교환시에는 불이익입니다. 코오롱의 주가가 그대로이면 값이 비싸진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주식과 교환할때 현재보다 손해를 보게 되니까요. 그런 점에 있어서 저는 못들어 갈 것 같습니다.
[참고]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일봉 차트
*참고로 11일(목)도 그리고 작성시점인 15(월)에도 상한가네요....
2. 엠에스씨
📝 건강기능식품 및 식품첨가물 제조 업체 (코스닥)
📈 상한가 이유
넷플릭스에서 인기인 '케데헌'(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특수로 최근 몇일 K-푸드 관련 종목 강세현상입니다.
케데헌에 실제 '동심'이라는 이름으로 신라면과 유사한? 라면이 나옵니다. 이러면서 케데헌의 인기로 인한 K-푸드 유행이 라면으로 집중되는 모양입니다.
엠에스씨는 라면 스프, 소스 등을 제조하여 대표적인 라면 제조기업인 농심과 삼양식품 등에 납품하는 회사로 금일 점상으로 바로 상한가로 직행했습니다.
📊 기본적 분석
현재 PER나 PBR가 낮은 상태이긴 합니다. (현재기준 PER 8, PBR 1미만 수준) 하지만 보통 식품업체(동종업계) 평균 PER가 낮기도 하기 때문에 저평가다라는 문제는 자세히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회사의 실적은 나쁘지는 않습니다. 매출이나 영업이익 등이 지속성장하는 추세는 아니지만 연간 2천억 수준의 매출과 꾸준히 영업이익을 내고 있습니다.
🏭 관련 기업
: 농심, 삼양식품, 오뚜기, 풀무원 (농심도 상승폭이 큽니다.)
🖋 Note
케데헌의 인기를 실감합니다. 그런데 케데헌은 사실 OST 등 음악이 인기요소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관련 엔터주는 움직임이 별로 없는 상태에서 K-푸드로 많이 수급이 몰리는 것 같습니다. (이게 시장의 선택이겠지요. 뭐 물론 앞으로는 모릅니다ㅎ)
식품관련 주식은 사실 대부분 시장이 국내에 한정되면서 기본적인 업게 평균 PER가 높은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게 해외매출과 맞물리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불닭볶음면의 해외 인기로 인한 삼양식품 주가만 봐도 그렇죠) 그렇기 때문에 케데헌과 그로 인한 해외매출 실적 관련된 내용을 계속 주시해야할 것 같습니다.
[참고] 엠에스씨 일봉 차트
3. 엠디바이스
📝 SSD 제조 전문기업 (우리가 노트북에 사용하는 그 저장장치 SSD 맞습니다)
설계, 제조, 조립, 검사, 판매 전과정 수행. 최근 클라우드, AI, 데이터센터(ESS) 등에 집중하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 관련 기업
📈 상한가 이유
금일 시스템반도체 관련주 들이 일제히 상승하였습니다. 그중에서 해당 기업이 반도체 관련주로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반도체나, 팹리스, 혹은 파운드리 업체 중 대형업체가 많은데 엠디바이스가 상한가를 간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ESS 등도 추가적으로 작용했는지는 계속해서 확인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 기본적 분석
23년 이전에는 연간매출 100억 수준에서 24년 매출액 400억대 기록하며 흑자로 전환하였습니다. 올해 1,2분기는 매출액이 200억 수준으로 매출 및 이익성장율이 매우 높은 기업입니다.
시총 1600억 수준의 소형기업이고, 올해 3월에 상장하였습니다.
*여기서 특징이 엠디바이스는 매출의 98%가 (대부분이지요) 중국향 매출이라고 합니다. 최근 중국의 반도체 사업육성 및 ESS 설립등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습니다. 중국 AI/반도체 관련주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중국 딥시크나 중국 데이터센터향 매출 등으로 성장하는 기업으로 보입니다.
🏦 관련 기업
싸이닉솔루션(팹리스), 윈팩(후공정), 하나마이크론(후공정), 아이에이(자동차 전장 반도체), 엔투텍(반도체 장비)
🖋 Note
반도체 기업중 중국 관련 기업으로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매출 성장율이 매우 높기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해보입니다.
사실 반도체는 '산업의 쌀'이라하고 우리나라를 소위 먹여 살리는 중요한 산업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만 봐도 그렇죠.
하지만 그만큼 국내 기업도 많고, 초보인 저에게는 산업구조가 다른 섹터와는 다르게 많이 복잡합니다.
(설계만 하는 팹리스, 생산 중심의 파운드리, 거기의 장비업체, 전공정-후공정 등등)
최근 "금반지" (금융/반도체/지주사)라고 하면서 조방원(조선/방산/원자력)을 대체할거란 이야기도 많이 나오는데 대체 그 수많은 반도체 기업들 중 어떤 종목이 매력적인지 항상 고민중인 1인입니다. 😂
[참고] 엠에스씨 일봉 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