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주의 절반이 지난 목요일입니다.
오늘은 또 어느 기업이 상한가를 기록 했을까요? 어떤 이슈가 중심이 되었을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상한가 종목은 코스닥에서 총 5개 기업입니다.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큐로홀딩스
📑 커피/커피머신 유통사업 및 엔터테이먼트(콘텐츠제작) 기업 (코스닥)
📈 상한가 이유
*2일 연속 상한가입니다.
어제 중국 공연재개 등 중국 개방의 기대감과 케데헌의 열풍으로 엔터주가 상승하면서
큐로홀딩스가대장으로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오늘도 마찬가지로 엔터주들이 상승했고 큐로홀딩스는 일찌감치 2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합니다.
📊 기본적 분석
큐로홀딩스는 동전주에서 오늘 상한가로 1219원이 되었습니다. 시총은 283억원입니다.
(큐로홀딩스는 연매출 700억 수준 이익은 적자입니다.)
🏭 관련 기업
YG, JYP, 하이브, SM 등 엔터기업
✒️ Note
엔터주가 강세라고는 하는데,,,아마 다른 엔터주를 가진 주주분들께서는 도무지 공감하시지 못할 것 같습니다. 유명한 SM, JYP, 하이브 등의 대형 엔터주는 1%내외 상승이어서 그럴겁니다. 큐로홀딩스로 집중된 수급이 다른 종목으로 옮겨질지 한번 눈여겨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 큐로홀딩스 일봉 차트
2. 한국첨단소재
📑 유무선통신 및 양자암호통신, 양자컴퓨터 관련 기업 (코스닥)
📈 상한가 이유
한국첨단소재는 본업의 비중이 어찌됐든 시장에서는 양자컴퓨터 관련 주로 움직이는 경향을 보입니다.
오늘 양자컴퓨터 세계 대장주라고 할 수 있는 아이온큐가 미국 에너지부와 기술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글로벌 양자컴퓨터 기업의 좋은 소식들로 양자컴퓨터 관련주가 움직였습니다.
그중에서 한국첨단소재가상한가를 기록하게 됩니다.
📊 기본적 분석
한국첨단소재는 시가총액 800억원에 소형주입니다. (최근 상한가 종목은 모두가 소형주입니다. 뭐 어쩌면 당연한거겠죠)연간 매출액은 100억원대의 아직 실적은 크지 않은 적자기업입니다.부채비율도 24년 기준 400%를 넘는걸로 봤을 때 재무적으로는 투자하기 위험한 기업입니다.
🏭 관련 기업
아이윈플러스, 엑스게이트, 파인텍, 아이씨티케이 (양자컴퓨터 관련주)
✒️ Note
소형주는 현재의 실적이 아니라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나 모멘텀을 바탕으로 주가가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한국첨단소재는 전형적인 그런 종목으로 보입니다. 실적은 없고 재무상태는 좋지 않지만글로벌 시장에서 유행하는 양자컴퓨터와 연결되면서 수급이 들어오는 것으로 보입니다.상한가도 바닥에서 나온걸로 봤을때 투자하기에 매력도도 낮은 것 같습니다.
[참고] 한국첨단소재 일봉 차트
3. 아이윈플러스
📑 이미지센서 패키징, 자동차양 선통신 및 양자암호통신, 양자컴퓨터 관련 기업 (코스닥)
📈 상한가 이유
위 한국첨단소재와 동일합니다.
미국기업 아이온큐로 인한 국내 양자컴퓨터 관련주 상승 중에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기본적 분석
아이윈플러스는 시가총액 300억원대에 소형주로 연매출액도 300억원 수준의 적자기업입니다.
🏭 관련 기업
한국첨단소재, 엑스게이트, 파인텍, 아이씨티케이 (양자컴퓨터 관련주)
[참고] 아이윈플러스 일봉 차트
4. DGP
📑 풍력,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유지보수 기업 (코스닥)
📈 상한가 이유
DGP가 오늘 상한가를 기록한 것은 신재생에너지 혹은 향후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은 아닙니다. 어떤 공시나 기사도 없었습니다.
그러면 최근 이렇게 급등한 경험을 찾아봤는데 이 기업이 경영권 분쟁으로 상한가를 기록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도 이와 동일한 이유로 상한가를 기록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주주가 현재 지분율이 약 15% 정도인데, 대주주의 평판문제? 등으로 소액주주 연합이 지분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해당 지분율이 대주주 지분율을 넘어섰다는 내용도 있습니다.)
📊 기본적 분석
DGP는 시총 300억원대에 연간 매출은 100억원 수준입니다. 지속 적자인 상태입니다.
✒️ Note
전형적인 투자위험 회사입니다. 경영권 분쟁으로 인한 급등락은 가능하시면 외면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참고] DGP 일봉 차트